획기적인 성능의 NVMe 인터페이스... 삼성 960 EVO 500G 설치기
요즘 집 PC로 게임도 하고 자주 사용하다 보니 240기가 SSD에 용량이 거의 차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남은 용량 20GB 이하… 빨간색으로 경고를 계속 하더군요…
용량을 올려야 하나… 하고 컴퓨존 쇼핑몰을 들여다 보고 있는데…
SATA 인터페이스가 아닌 M.2방식의 SSD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M.2방식의 SSD는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기존 SATA3의 대역폭을 가진 NGFF방식의 SSD와 NVMe 방식이 있는데 속도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NGFF방식은 기존 SATA3의 대역폭을 사용하기 때문에 SATA3 SSD와 유사한 속도(읽기/쓰기:500MB/s내외)를 보이지만 NVMe방식은 읽기 3,200MB/S, 쓰기 1,900MB/S(삼성 960 EVO)의 엄청난 속도를 가지고 있더군요…
바로 제 메인보드에 M.2 슬롯이 있다는 사실이 생각이 났습니다. 오호 ~
하지만 가격은 기존 SATA3 SSD나 NGFF M.2 SSD에 비해 상당히 고가였습니다.
MLC메모리를 사용한 삼성 960 PRO는 500GB기준 약 42만원, TLC메모리를 사용하는 960 EVO는 약 34만원…
사실 처음에는 용량을 up하기 위해서 였지만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속도 up도 욕심이 났기 때문에
NVMe방식의 M.2 SSD을 선택하기로 하고
기왕이면 MLC가 좋긴 하지만, 요즘에는 TLC도 크게 문제 없다는 소식을 많이 들었기 때문에 가격 부담으로 인해 메모리는 그냥 TLC를 선택하였습니다.
NVMe TLC 제품인 삼성 960 EVO 제품입니다. 현시점에서는 MLC제품인 960 PRO제품보다는 약 9만원 저렴하지만 NVMe가 아닌 850 EVO제품보다는 10만원정도 비쌉니다.
M.2슬롯이 바로 메인보드 내에 위치하고 있어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내부 깊숙한 위치이기 때문에 위의 확장카드들을 제거하고 설치해야 하는군요...
M.2 SSD는 생각보다 사이즈가 작아 놀랐습니다. 옆의 SATA케이블이 커보일 정도니깐요...
설치는 슬롯에 끼워주고 나사하나 조여주면 끝납니다. 별도의 선으로 연결되는게 아니라서 설치는 깔끔합니다.
바로 부팅 후 인식되는것을 확인하고
윈도우 재설치에 들어갔습니다.
참고로 NVMe방식의 SSD는 윈도우8.1 이상에서 동작합니다.
OS에서 NVMe방식을 지원하는 것은 윈도우 8.1부터이기 때문입니다.
기존에도 SSD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OS설치 후 체감느낌은 기존과 크게 달라지는것은 없습니다.
조금 부드럽게 동작한다는 느낌?
하지만 OS설치 후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면서 곧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습니다.
문제점 1.
하드웨어 설치 후 OS(windows 10)을 설치한 후 디스크 정보를 처음 확인해 봤는데, 기존에 달려있던 hdd 두개가 인식을 하지 않는 것이였습니다.
처음에는 전원이나 SATA선이 빠졌나… 하고 살펴봤지만 그것도 아니고, HDD문제도 아니였습니다.
인식을 못하는 HDD는 메인보드에 SATA Express 단자에 연결되어 있던 두개의 SATA HDD 였습니다.
찾아보니 H97, Z97칩셋에서 M.2는 SATA Express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 있더군요…
M.2가 활성화 되니 SATA Express는 비활성화 되고, 여기에 연결되어 있던 두개의 SATA HDD는 당연히 인식이 불가능해 진 것입니다. 제 메인보드는 H97 칩셋입니다… ㅠㅠ
문제점 2.
어쨌던 문제점1은 추가 SATA 카드를 사용하면 될일이다 생각하고 엄청나게 빨라진 PC를 기대하며 CrystalDiskMark를 돌려봤습니다.
원래는 이런 벤치마킹툴로 숫자놀이 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그래도 이정도 수준이구나의 확인정도만 하기 위해서였는데…
엥?
읽기 3,200MB/s, 쓰기 1,900MB/s 이라며?
또다시 검색에 들어갔습니다.
결론은 메인보드 칩셋에서 최초의 M.2의 네이티브 지원은 H97, Z97칩셋의 Intel 9 Serise Chipset이며
이때 지원하는 대역폭은 최대 1,000MB/s 이다…
OS가 돌아가는 SSD임을 감안하고
위의 사실로 봤을때 CrystalDiskMark의 결과치는 완전히 정상인걸로… ㅠㅠ
기존에 쓰고 있던 인텔 535 240GB SATA3도 같이 측정해봤습니다.
쓰기속도가 좀 이상하군요....
그래도 기존 SSD보다는 빨라졌으니… 스스로 위안을 해봐야 하는건가요?
결론
문제점 1, 2를 겪으면서.. 메인보드를 바꿔야 하나? 라는 생각이 잠시 들었습니다.
하지만 CPU와 메모리를 같이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그건 아닌거 같고...
어쨌든 NVMe SSD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최신의 스팩인 1151소켓의 메인보드와 스카이레이크 CPU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존의 1150소켓의 H97또는 Z97 칩셋의 메인보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성능향상도 있긴 하지만...
지원 대역폭으로 인해 그 이상의 성능향상은 불가능하다는 점은 감안해야 할것 같습니다.